http://www.spiegel.de/…/union-und-spd-wollen…

슈피겔지에 난 기사인데, 독일에서 최고 경영자들의 수입을 통제하는 법을 제정하자는 정치권의 합의에 대한 기사임.

독일은 미,영과 달리, 아무리 능력있는 경영인이라 하더라도 수입이 높은 것에 대해 비판적임. 이미 다른 나라보다 적게 받는 편인데도 그러함.

법안의 주 내역은, 최고 경영인의 급여를 회사직원들의 평균임금의 몇 배로 할 것인가를 이사회가 미리 정해야 한다는 것임.

“시장이 자율적으로 할 수 없는 일이라면 정의를 위해 국가가 나서야 한다. 경영인의 수입도 상식적인 도를 넘어서는 안 된다” – 사민당 토마스 오퍼만

벨트 암 존탁지에 소개된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시민들의 73.3%가 이같은 규정에 찬성한다고 응답했으며 반대는 21% 였다. 찬성한다고 응답한 이들은 사회 모든 계층에 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 이상 내용 일부 베를린리포트에서 발췌전제.

얼마전 스위스에서 최고소득을 최저소득의 12배로 제한하자는 법안이 부결되었음. (부결될 것을 예상은 했으나, 찬성이 30% 이상 나올 줄은 차마 생각못했음.)

여하튼, 미국식 자본주의를 절대신봉중인 한국에서는 꿈도 못꿀 일이겠지. 정몽구 회장은 최저임금의 4233배를 받는다고 하던데, 4233명분의 노동가치를 하는지는 일단 차치하고, 최고소득의 제한이 노동의지를 꺾는다고 하는데, 아무려면 정몽구 회장이 4233명분의 노동의지를 혼자 발휘하는 건 아니지 않는가…

스웨덴 같은 곳은 독일보다 더 심하긴 하지만, 독일도, 급여 수준에 대한 빈부격차가 그닥 많지는 않음. 좀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적은 급여를 받아도 비슷한 수준의 생활이 가능하다고 해야 할까. 일단 집과 직장만 있다면, 먹고 사는 건 비슷하게 살 수 있다는 뜻. 워낙 독일 사람들이 검소하기도 하고, 물가가 안정되어 있고, 국가가 보장해주는 것들이 많기 때문.

물론 최근에는 독일도 고학력/고소득 전문직에 대한 선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고소득자에 대해 부러워는 할 지언정, 굳이 신화적 존재로 추앙하지는 않는다. 사실, 지식인층은 물론 기업인들조차, 많은 소득은 사회악이라고 비판하기도 하고.

그렇다 해서 독일 사람들의 근로의욕이 저하되었다거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아예 말도 안되니…

카테고리: 생각하다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아바타 플레이스홀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